[5년 ROE 15%]SK머티리얼즈 재무제표 분석1-재무비율 분석 등

( [5년 ROE 15%]SK머티리얼즈 재무제표 분석2-PER,ROE,BPS 등 )


SK머티리얼즈를 시작으로 시가총액 기준 코스피 500위와 코스닥 500위에서 ROE 15% 이상을 5년동안 유지한 기업을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는데, 이전글에 이어서 SK머티리얼즈 재무제표 분석을 계속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SK머티리얼즈의 매출액, 유동비율, 부채비율 등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PER, BPS 등 상대가치평가를 이용해 주식의 적정가격을 책정해보고, RIM 등 절대가치평가를 이용해 적정가격을 매겨보겠습니다. 여기서 RIM은 S-RIM으로, 사경인님께서 쓰신 '재무제표를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라는 책에서 RIM을 변형하여 소개하신 방법입니다. S-RIM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 책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이 기업의 분야를 잘 모르기 때문에 상대가치평가법에서 동종업계를 비교할때 네이버금융 등 사이트에서 참고하였습니다.


SK머티리얼즈는 현재 코스닥 시장 시가총액 10위 기업이며 시장에서의 액면가는 500원입니다. 이 기업의 대략적인 소개를 드리자면, SK 머티리얼즈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에 쓰이는 특수가스와 산업가스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III. 상대가치평가 & 절대가치평가


1. PER & PCR & PEGR


PER는 기업이 버는 것에 대해 얼마나 평가가 되어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가치주라면 10이하가 되고, 성장주라면 20이상이 된다고 합니다. PER는 시장가격을 EPS로 나누는 것인데, EPS 자체가 당기순이익을 나누는 것입니다. 그런데 당기순이익은 조작하기가 쉬워서 조작하기가 힘든 현금흐름표의 영업현금흐름을 이용하여 계산한것이 PCR입니다. PCR도 나온 값을 PER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숫자가 낮으면 저평가된 것이고, 높으면 미래수익전망을 좋게 본 것 입니다. 또한, 이런 PER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것이 PEGR인데 EPS증가율을 이용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핀터 린치가 이용한 방법이라는데 0.5이하라면 매수하고 1.5이상이면 매도한다고 합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PER

19

17

18

13

14

PCR

8.2

9.1

13

8.1

7.0

PEGR

0.6

0.03

0.18

0.54

1.45


동종업계의 PER 평균은 29입니다.

덕산네오룩스, 서울반도체, 천보 순으로 각 33, 27, 26 입니다.


PER는 동종업계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그리고 PCR도 높은 편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PEGR을 보면 과거이기는 하지만 '16년도에 0.5이하로 매수하면 '19년도에 시장가격이 약 3%가 올랐습니다.


2. ROE & ROA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써,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ROA는 자기자본과 부채로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ROE보다 ROA가 훨씬 크다면, 그것은 부채가 월등히 높다는 뜻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ROE(%)

18

26

26

30

27

ROA(%)

9.9

12

9.3

8.2

8.2


ROE는 5년동안 꾸준히 25%이상 또는 20%이상을 4년동안 유지했습니다. 그에 반해 ROA는 증가하는 추세는 아닙니다. 부채비율이 높아진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보았습니다.



위 그래프는 ROE와 순부채비율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입니다. 최근 5년동안은 15%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12~'14년도에는 10% 아래였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행동을 하지는 않지만 최근 몇 년동안은 순부채비율이 증가하면서 ROE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3. BPS & PBR


BPS는 주당순가치로써, 자기자본으로 주식수를 나눈 값입니다. 기업이 사업을 접고 자기자본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줄 때 주주가 1주당 가져갈 수 있는 돈입니다. 자기자본으로 한 주의 적정가격을 책정해본 것 입니다. BPS는 시장가격과 BPS의 비율을 나타낸 값입니다. 현재 시장가격이 BPS에 비해 몇배인지 알려줍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BPS(원)

35,700

39,980

38,500

39,700

49,700

PBR(배)

3.3

4.5

3.7

3.8

3.7


동종업계의 PBR은 평균 2.7입니다.

덕산네오룩스, 서울반도체, 천보 순으로 각 3.9, 1.4, 2.9 입니다.


PBR은 동종업계의 평균보다는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만, 그 중 SK머티리얼즈와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는 기업도 있습니다.


4. S-RIM


S-RIM은 사경인님께서 쓰신 책 '재무제표를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에서 소개한 방법입니다. 절대가치평가방법인 RIM을 변형시켜 S-RIM을 만들어 쓰고 계신다고 합니다. 이제 이 방법으로 적정가격을 매겨보겠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구분(원)

2015

2016

2017

2018

2019

매수가격

53,000

60,000

60,700

60,300

76,000

1차 매도가격

65,800

74,600

76,600

75,300

95,800

2차 매도가

108,400

123,500

127,700

125,500

165,100

 PBR(배)

 2.2

2.5 

2.4 


BPS도 그렇고, S-RIM도 그렇고 '15년 이후로 꾸준히 가격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5. 한두 줄 고찰


SK머티리얼즈는 돈을 잘 벌고는 있으나 부채비율이 좀 높습니다. 그러나 PBR이 낮은 편은 아닙니다.


[5년 ROE 15%]SK머티리얼즈 재무제표 분석1-재무비율 분석 등

( [5년 ROE 15%]SK머티리얼즈 재무제표 분석2-PER,ROE,BPS 등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