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는 이전글에 이어서 인바디의 재무제표 분석을 계속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인바디의 매출액, 유동비율, 부채비율 등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PER, BPS 등 상대가치평가를 이용해 주식의 적정가격을 책정해보고, RIM 등 절대가치평가를 이용해 적정가격을 매겨보겠습니다. 여기서 RIM은 S-RIM으로, 사경인님께서 쓰신 '재무제표를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라는 책에서 RIM을 변형하여 소개하신 방법입니다. S-RIM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 책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상대가치평가법에서 동종업계를 비교할때 네이버금융 등 사이트에서 참고했습니다.


인바디는 현재 코스닥 시장 시가총액 223위 기업이며 시장에서의 액면가는 500원입니다. 이 기업의 대략적인 소개를 드리자면, 인바디는 전자의료기기 및 생체 신호 측정장치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체성분분석기를 주요제품으로 개발하고 생산하며 판매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III. 상대가치평가 & 절대가치평가


1. PER & PCR & PEGR


PER는 기업이 버는 것에 대해 얼마나 평가가 되어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가치주라면 10이하가 되고, 성장주라면 20이상이 된다고 합니다. PER는 시장가격을 EPS로 나누는 것인데, EPS 자체가 당기순이익을 나누는 것입니다. 그런데 당기순이익은 조작하기가 쉬워서 조작하기가 힘든 현금흐름표의 영업현금흐름을 이용하여 계산한것이 PCR입니다. PCR도 나온 값을 PER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숫자가 낮으면 저평가된 것이고, 높으면 미래수익전망을 좋게 본 것 입니다. 또한, 이런 PER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것이 PEGR인데 EPS증가율을 이용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핀터 린치가 이용한 방법이라는데 0.5이하라면 매수하고 1.5이상이면 매도한다고 합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PER

46

22

28

15

15

PCR

71

20

29

17

13

PEGR

1.0

0.52

0.93

3.2

2.2


동종업계 평균 PER는 18 입니다.

인터로조, 한스바이오메드, 아이센스 순으로 18, 22, 15 입니다.


PER가 동종업계 중에서 조금 낮네요. '19년 말에는 PEGR이 꽤 높습니다. 꽤 매력적인 종목인 것 같은데 조금 


2. ROE & ROA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써,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ROA는 자기자본과 부채로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ROE보다 ROA가 훨씬 크다면, 그것은 부채가 월등히 높다는 뜻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ROE(%)

23

18

18

16

15

ROA(%)

21

18

17

15

13


ROE는 5년동안 꾸준히 15% 이상을 유지했습니다. ROA는 ROE와 차이도 얼마 없는 걸 보니 부채도 별로 없는 게 맞나 보네요. 



10년간의 ROE입니다. 계속 10%이상은 내고 최근에 15%로 되고나서 '15년도부터 ROE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네요.


3. BPS & PBR


BPS는 주당순가치로써, 자기자본으로 주식수를 나눈 값입니다. 기업이 사업을 접고 자기자본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줄 때 주주가 1주당 가져갈 수 있는 돈입니다. 자기자본으로 한 주의 적정가격을 책정해본 것 입니다. BPS는 시장가격과 BPS의 비율을 나타낸 값입니다. 현재 시장가격이 BPS에 비해 몇배인지 알려줍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BPS(원)

5,600

6,800

7,900

9,200

10,500

PBR(배)

10

4.0

5.1

2.4

2.3


동종업계 PBR 평균은 4.3입니다.

인터로조, 한스바이오메드, 아이센스 순으로 8.3, 2.9, 1.8 입니다.


PBR이 낮진 않아보입니다. 계속 꾸준히 BPS가 증가하고 있네요. 보기 좋습니다. 다만 그에 대해 시장가격은 좀 높아보이네요.


4. S-RIM


S-RIM은 사경인님께서 쓰신 책 '재무제표를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에서 소개한 방법입니다. 절대가치평가방법인 RIM을 변형시켜 S-RIM을 만들어 쓰고 계신다고 합니다. 이제 이 방법으로 적정가격을 매겨보겠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구분(원)

2015

2016

2017

2018

2019

매수가격

7,200

8,600

9,400

10,800

12,800

1차 매도가격

8,300

9,900

10,400

11,900

14,500

2차 매도가

12,100

14,400

13,800

15,700

20,500

 PBR(배)

8.1

3.1

4.3

2.0

1.9


이 가격이 정답은 아니지만, 현재 가격이 이 절대가치법보다는 좀 높네요.


5. 한 줄 사견


매출도 꾸준히 오르고 있고, ROE도 꾸준히 내고 있으면서 부채비율은 낮습니다. 가격이 조금 아쉽지만, 꽤 매력적인 종목으로 보이네요.

+ Recent posts